고용주 브랜드
고용주 브랜드는 1990년 초에 처음 제안되었으며, 기업의 인재의 중요성이 강조가 되면서 중요한 개념이다. 기업이 제품을 브랜딩하여 고객을 확보하는 것처럼 고용주는 자신의 브랜드를 구축하여 인재를 유지하고 동기를 부여해 능력이 있는 종업원을 확보 하는데 집중하기 시작했다. 기업 활동의 관점에서 보면 고용주 브랜딩은 조직의 여러 다른 구성 요소들을 함께 묶어 종업원의 충성도, 몰입, 성과를 강화하여 궁극적으로 고객충성도 및 만족을 얻게 된다. (T. Ambler & S. Barrow, 1996)
기존 브랜드 마케팅 활동을 인적자원관리의 개념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고용주브랜드(employer brand) (Alnıaçık & Alnıaçık, 2012)는 고용브랜드(employment brand)라고도 하며, 전통적 마케팅 개념과 인적자원관리의 관계를 통하여 브랜드와 고용의 관계를 밝힌 Ambler & Barrow(1996)에 의하여 최초로 제시된 개념이다.
김현기(2003: 35)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핵심인재를 확보하여 육성 및 유지하기 위해 조직의 내⋅외부 인력들로부터 인식되는 고용관계의 총체적인 이미지”가 고용주브랜드라 정의.
이만재 외 (2016: 204)는 “고용관계와 관련하여 기업의 외부평판, 경영자 리더십, 직원가치제안, 근무조건, 조직문화, 기업 경쟁력 등의 요인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조직 이미지”라고 하였다.
고용주브랜드 – 내부마케팅: 내부 직원에게 고용주브랜드 가치를 노출시킴으로써 조직 충성도를 높이고(조성일, 2013; Backhaus & Tikoo, 2004; Lee et al., 2018) 이직률을 낮춰 이직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박지원, 2003)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역량을 성장시켜 기업의 경영성과와 생산성을 높이는 원동력이 된다(정종남, 2016; Backhaus & Tikoo, 2004; Lee et al., 2018).
고용주브랜드 – 외부마케팅: 외부마케팅 관점에서 고용주브랜드는 기업 외부의 잠재 직원들에게 기업의 고용주 이미지를 구축하고, 매력도를 높여(Backhaus & Tikoo, 2004; Lee et al., 2018) 해당 기업에서 근무하고 싶은 동기부여를 제공한다(조성일, 2013). 그리고 이를 통하여 우수한 지원자 유치 및 확보하게 된다(Backhaus & Tikoo, 2004).
참고:
김영길 외, 2020 – 호텔기업 고용주브랜드 요인 중요도 분석 및 고용주브랜드 포지셔닝 맵 비교
왕설정 외, 2020 – 중국 대기업 고용주브랜드가 종업원의 업무성과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